충남연구원 정책데이터뱅크
주제별, 사업별, 이슈별 검색 바로가기
인기과제
-
01
충남형 일자리 추진전략 - 양극화 완화를 위한 상생.포용.도전의 일자리 전략 2020 이민정 본 연구의 목적은 “충남형 일자리”에 대한 모델을 수립하는 것이다. 기존 충남 지역경제의 경로수정을 고려하는 산업군(郡)에서의 일자리 창출, 기존의 소극적 일자리 해소정책에서 적극적 일자리 창출을 지향하는 분야 발굴, 지역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 민선7기 “포용” 키워드를 담은 일자리 창출. 이렇게 4가지 성격을 지닌 일자리 정책을 “충남형 일자리”로 규정하고 각 내용에 따른 일자리 창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각 내용별로 상생형 일자리, 창업(창농, 국제창업), 포용형 일자리를 설정하고 각 부분의 실태파악과 사례조사를 통해 정책방안, 사업발굴을 제안하고자 한다.
-
02
4차산업혁명에 대비한 충남도 지역산업정책 전략 연구 2018 송두범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단순한 제조업과 핵심기술에 한정된 단편적 변화가 아니라 사회 전반의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충청남도의 지역산업정책도 4차 산업혁명의 기술적 특성,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전반의 트렌드 변화 특성을 토대로 충남의 산업구조 변화방향을 제시하고 기회요인 극대화 및 부정요인 극복이라는 관점에서 지역산업정책의 과제와 행정에서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기술적 특성을 분석한다. 4차 산업혁명의 개념적 및 기술적 특성을 살펴보고, 4차 산업혁명론의 한계와 3차 산업혁명론의 대두, 국내외 4차 산업혁명 관련 대응 정책을 검토한다. 둘째, 4차 산업혁명의 트렌드 변화를 총체적, 경제적, 사회적 시스템 변화라는 측면에서 검토해보고,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총체적인 접근방식으로 지역혁신 전략을 살펴보며, 기회요인극대화 및 부정요인 극복이라는 분석틀을 설정하여 충남도의 지역산업정책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평가 한다. 셋째,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충남의 산업구조 변화방향을 제시하고, 기회요인극대화 및 부정요인 극복이라는 관점에서 지역산업정책의 과제와 행정에서의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
03
충청남도 공무원 공통직무 역량분석 2020 고승희 본 연구는 행정환경의 변화와 흐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역량에 대하여 점검하고 이를 위한 교육훈련 방향모색을 위한 기초조사임. 6급 이하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직무역량에 대한 조사를 통해 현재의 수준과 향후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됨.
-
04
충남 농민기본소득 보장방안 연구용역 2019 박경철 □농민의 기본적 생종권 보장 방안 마련 -상시적인 농산물가격 불안정 문제 해소 -농사 수입원 감소에 따른 생존권 보장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 보장과 지속성 마련 -식량안보, 수자원 함양, 생태계 보전, 공동체문화 보전 등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 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