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연구원 정책데이터뱅크
주제별, 사업별, 이슈별 검색 바로가기
인기과제
-
01
충남형 일자리 추진전략 - 양극화 완화를 위한 상생.포용.도전의 일자리 전략 2020 이민정 본 연구의 목적은 “충남형 일자리”에 대한 모델을 수립하는 것이다. 기존 충남 지역경제의 경로수정을 고려하는 산업군(郡)에서의 일자리 창출, 기존의 소극적 일자리 해소정책에서 적극적 일자리 창출을 지향하는 분야 발굴, 지역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 민선7기 “포용” 키워드를 담은 일자리 창출. 이렇게 4가지 성격을 지닌 일자리 정책을 “충남형 일자리”로 규정하고 각 내용에 따른 일자리 창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각 내용별로 상생형 일자리, 창업(창농, 국제창업), 포용형 일자리를 설정하고 각 부분의 실태파악과 사례조사를 통해 정책방안, 사업발굴을 제안하고자 한다.
-
02
충남 공유경제의 활성화 방향 연구: 사회적경제와 상호보완성을 중심으로 2020 전지훈 1. 본 연구는 현재 맹아기이며 정책 도입단계인 충청남도 공유경제의 확산과 활성화를 위해 대안경제활동으로 공유활동의 본질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지역사회의 가치를 추구하는 경제활동으로 성장 중인 사회적경제 활동과의 이념적, 정책적 관련성을 도출하여 연계활동의 당위성과 근거를 마련한다. 3. 공유경제와 사회적경제 연계활동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현재 사회‧경제 양극화 해소와 코로나19 상황의 극복을 위해 충남에서 두 영역간 상호보완성 중심의 지역기반 연계 방향과 모델을 제시한다. 4. 현장에서 공유경제와 사회적경제의 연계활동 구축과 확산을 위해 충청남도의 정책 실행방안을 제시한다.
-
03
인구감소시대에 대응한 지방정부의 농촌지역정책 구상 2020 조영재 본 연구는 인구감소시대 지방소멸 위기 및 지방분권 등의 이슈에 대응한 충남도의 새로운 농촌지역정책을 구상하고 세부 추진전략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음.
-
04
코로나19에 따른 농업.농촌분야 접근관점의 변화와 대응방향 2020 강마야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19에 대비하기 위하여 그동안 농업.농촌 분야가 접근하던 관점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변화 필요성을 강조하고 충남 농정의 핵심적인 대응방향과 정책을 제안함에 주요 목적이 있음.